[구피 꿀팁 정리] 광합성 미생물 PSB , 정말 도움이 될까?

안녕하세요
땅콩곰입니다
수조관에 가거나 커뮤니티에서
PSB를 추천해주는 경우가 있는데요
오늘은 PSB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 정보를 글쓴이가 정리 후 올리는 글입니다.※
※문제가 있거나 잘못된 글이 있을 경우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광합성 미생물 [PSB] 란 무엇인가?
광합성균 [photo synthesis bacteria]
환경의 무기물로부터 발육에 필요한
유기 영양소를 합성할 수 있는 무기영양균이라고
되어있지만 쉽게 말하면 광합성 박테리아입니다.
구피들이 싸는 똥(질산염)을 질소가스로 만들어주는 균이라고 합니다.
-------------------------------------
우선 자세히 아시기 전에
수조의 여과 사이클에 대해 아셔야 합니다.

위 사진처럼 여과 사이클이 돌아갑니다.
그럼 본론으로 돌아가겠습니다.
-------------------------------------
광합성균 [photo synthesis bacteria]
이 광합성 세균은 탈질화를 이르킨다고합니다.
탈질화란 질산염을 질소가스로 바꿔주는 것이라고 합니다.
즉 위에 여과기처럼 박테리아로 생물적 여과가 가능하단 말입니다.
하지만!
광합성 세균은 탈질화 보단 질소고정을 더 많이 한다고 합니다.
질소고정은 질소가스를 암모니아로 바꾸는 것이라고 합니다.
즉 어항에 암모니아가 찬다면 개체들은 많이 힘들 겁니다.
-------------------------------------
탈질화에는 혐기조건이란게 필요합니다.
혐기조건이란 산소가 부족하거나 없는 상태입니다.
무환수로 공기 주입 없이 바닥재를 두껍게 깐다고 가정하면
낮엔 수초나 식물성 플랑크톤들로 인해
산소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혐기조건이 맞춰지지 않습니다.
밤엔 수초나 식물성 플랑크톤들의 광합성이 없기 때문에
혐기조건이 맞춰집니다.
하지만!
산소가 없는 상황에선 개체가 문제입니다.
수질 측면에선 psb가 좋지만 개체에게는 독이 됩니다.
-------------------------------------
암모니아(암모늄) > 아질산염 > 질산염
이 어항 내에 여과 작용입니다.
이 여과 작용에서 광합성 세균을 넣어서
암모니아(암모늄) > 아질산염 > 질산염 > 질소가스
까지 여과 작용을 늘리겠다는 이야기 같습니다.
하지만 질소가스를 만드는 탈질화를 하려면
혐기조건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혐기조건은 산소가 부족하거나 없는 상태는
매우 모순점입니다.
질산염이 일부 제거가 되긴 하지만
엄청 미비하다고 합니다.
-------------------------------------
1. 질소고정의 문제
2.혐기조건의 모순점
여러분 그냥 정기적인 환수를 하시면 됩니다!
-------------------------------------
다들 건강하고 발색, 먹이 반은 좋게 구피 키우시고 정기적인 환수는 필수입니다!!
구피 합사 정리 부족하지만 조금 적어뒀습니다!

구피 질병 정리 부족하지만 조금 적어뒀습니다!

'구피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피 꿀팁 정리] 필수과정 환수 , 구피의 화장실 청소! (0) | 2020.12.02 |
---|---|
[구피 꿀팁 정리] 구피 임신, 치어 잘 받을수 있을까? (0) | 2020.11.10 |
[구피 꿀팁 정리] 물생활의 기본, 물맞댐 방법 (0) | 2020.11.06 |
[구피 꿀팁 정리] 물생활의 기본 물잡이 방법 (0) | 2020.11.03 |
[구피 꿀팁 정리] 구피 발색, 크기는 사료 차이? 구피 약밥 제작과 방법 (0) | 2020.10.30 |
댓글